❄️ 겨울철 안전 중요성
겨울철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낙상사고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특히 1월과 11-12월에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며, 적절한 예방과 대처가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사망자 (65세 이상)
1년 내 사망률
증가율
5년 내 사망률
주요 부상 유형
뇌손상
후두부 충격으로 뇌진탕, 뇌출혈 위험
고관절 골절
엉덩방아 찧을 때 발생, 합병증 유발
손목 골절
손으로 땅을 짚을 때 손목 골절
척추 압박골절
척추에 압력이 가해져 뼈 찌그러짐
🚶♂️ 안전한 빙판길 보행법
손을 자유롭게
주머니에 손 넣지 말고 장갑 착용
보폭 줄이기
평소보다 보폭 줄이고 천천히
낮은 자세
허리와 무릎을 살짝 구부려
팔자걸음
발끝을 바깥쪽으로 벌려
옆으로 걷기
계단이나 경사로에서
발밑 주시
항상 발밑 살피며 걷기
👟 적절한 신발
- 미끄럼 방지 기능 신발
- 굽이 낮고 바닥면이 넓은 신발
- 발목을 보호하는 부츠
- 접지력이 좋은 운동화
- 미끄럼방지패드 부착
🧥 적절한 의복
- 얇은 옷을 여러 겹 착용
- 활동성을 중시한 외투
- 장갑으로 손 보온
- 미끄럼방지 기능 장갑
- 시야 확보 가능한 모자
🏃♀️ 사전 준비운동
- 외출 전 10분 스트레칭
- 관절과 근육 풀어주기
- 발목 돌리기 운동
- 무릎 굽혔다 펴기
- 몸을 충분히 따뜻하게
🛤️ 안전한 경로
- 그늘지고 어두운 곳 피하기
- 모래나 염화칼슘이 뿌려진 길
- 건물 출입구 계단 주의
- 지하철 입구 계단 조심
- 밝고 안전한 길 이용
🚨 응급상황 대처 원칙
빙판길에서 넘어졌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차근차근 대처하세요. 창피함 때문에 급하게 일어나려 하지 마세요.
즉시 움직임 중단
그 자리에서 몸의 상태를 먼저 확인합니다.
통증 부위 확인
머리, 목, 허리, 팔다리 순서로 통증 확인.
의식 상태 점검
어지러움, 메스꺼움이 있다면 즉시 119 신고.
골절 여부 확인
심한 통증이나 움직일 수 없다면 함부로 움직이지 않기.
안전한 장소로 이동
큰 부상이 없다면 미끄러운 곳에서 벗어나기.
응급처치 및 병원 이송
출혈 지혈, 골절 고정 후 즉시 병원 이송.
✅ 성공적인 회복을 위한 팁
- 부상 부위를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기
- 얼음찜질로 붓기 감소 (15분 간격)
- 24시간 내 전문의 진료 받기
- 처방된 약물 정확히 복용하기
👴 고령자 (65세 이상)
- 지팡이나 보행기 사용
- 보호자 동행 권장
- 가능한 외출 자제
- 골다공증 치료 병행
- 실버카 이용 고려
🤰 임산부
- 무게중심 변화 고려
- 복부 보호에 주의
- 평소보다 더 천천히
- 보호자 동행 필수
- 미끄러운 곳 절대 금지
👶 어린이
- 보호자가 손 잡고 이동
- 뛰거나 장난치지 않기
- 밝은 색 옷 착용
- 안전한 등하교 경로
- 겨울철 안전교육
🦴 관절질환자
- 관절 보호대 착용
- 충분한 준비운동
- 약물 복용 시간 준수
- 무리한 활동 금지
- 정기적인 진료
Q1. 겨울철 낙상사고는 언제 가장 많이 발생하나요?
12월부터 2월까지 겨울철에 낙상사고가 평상시 대비 3배 증가합니다. 특히 아침 출근시간(7-9시)과 저녁 퇴근시간(6-8시)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Q2. 넘어졌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즉시 움직임을 중단하고 그 자리에서 몸의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창피함 때문에 급하게 일어나려 하지 마시고, 차근차근 점검하세요.
Q3. 고령자는 어떤 특별한 주의사항이 있나요?
고령자는 골밀도가 낮아 가벼운 충격에도 골절 위험이 높습니다. 지팡이나 보행기 사용, 보호자 동행, 가능한 외출 자제를 권합니다.
Q4. 미끄럼방지 신발의 효과는 얼마나 되나요?
적절한 미끄럼방지 신발은 빙판길에서 낙상 위험을 약 60-70% 감소시킵니다. 특히 고무 밑창과 깊은 홈이 있는 신발이 효과적입니다.
Q5. 가벼운 타박상도 병원에 가야 하나요?
겉으로 보기에 가벼운 타박상이라도 내부 출혈이나 골절 가능성이 있습니다. 24시간 내 전문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겨울철 24시간 응급상담
빙판길 낙상사고 시 즉시 연락하세요